블로그에 있어서 글쓰기는 항상 고민이 많다. 어떻게 글을 써야 할까? 어떻게 글을 쓰면 좋은 클릭?이
나울 수 있을까? 그렇지만 이러한 글쓰기들은 답은 없다. 다른 사람을 따라 한다고 해도 그것은 따라 하는
것이지 자기 자신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금방 변질되어지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글쓰기에 있어서 좋은
방법 7가지단계를 공유 하고자 합니다.
1. 묘목을 많이 심자./ 아디이어 메모 정리
글을쓰면서 가장 좌절감과, 시간낭비를 느끼는 시간이 바로 아무생각 없이 글을 썼을때이다. 발행하기에도 그렇고
수정하기도 답도없고, 이러한 좌절감과 시간낭비를 줄이는 방법중 하나가 글쓰기 묘목을 심는 것이다.
묘목은 작은 나무를 심는다는 것이다. 바로 아이디어를 심는 것입니다. " 생산적인 작가는 좋은 아이디어와 바보같은 아이디어를 가능한 많이 포착해야한다는 것을 잘알고 있다." 라는 말이 있습니다. 아이디어를 메모해두면 아이디어는 키워드가 되고 그 키워드는 콘텐츠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작은 실천으로 우리는 시리즈를 연재할수 있고, 다양한 장르의 콘텐츠를 연결 할 수가 있다.
2. 자신만의 공간에서 글을 쓰자
글을 쓰면서 다양한 방해요소가 있다. 주변 소음, 스마트폰 알람, 카카오톡, 우리 아이들의 놀아달라는 소리 등등 다양한 방해 요소가 있다. 가끔식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구경하면서 느끼는 것이지만 "이사람은 어떻게 이렇기 깊은 글을 쓸수가 있을까?" 라고 생각한다.
이유는 간단 한것 바로 집중할수 있는 시간과 장소가 있기 때문이다. 자료를 더 찾아볼수 있고 자신의 것으로 소화한 다음에 글을 작성할 수 있기 때문이 깊고 좋은 내용의 글을 쓸수가 있던것 !!
3. 부제목 부터 생각해 보자.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정리를 해보았으면, 우선 부제목을 선정해 보자. 그 이유는 제목을 선정하고 무턱대고 글을 작성하면 내가 쓰고 있는 글이 산으로 갈수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부제목을 먼저 선정을 한다면 자신의 글의 전체적인 가이드라인을 잡을수 있기 때문이다.
부제목 선정에 앞서서 마이드맵을 활용해 보자. 자신의 다양한 아이디어 키워드를 연결을 하다보면 어느순간 큰 그림이 완성되어진 마인드맵을 확인 할 수 이가 있다.
4. 초안은 자유롭게
초안을 쓸대는 절대로 정확하게 써야 한다는 생각을 버려야 한다. 말그대로 초안이다. 자신의 생각을 적고 내용을 적어두고 순서 없이 마음대로 자유롭게 써내려가자. 어차피 우리는 수정할 시간이 충분히 있다.
초안을 막힘없이 쓴 글이 의외로 좋은글들이 많이있다. 그렇기 때문에 절대로 평가 받는 생각을 가지지말고
자신의 생각을 적어보도록 하자. 이때 글쓰기는 재미가 있다.
5. 또다른 나와 대화를 해보자.
초안이 완성되었으면 이제 확인/수정 이 필요로 하다. 그렇지만 자신의 누구에게 보여주고 수정을 받을 것일까?
바로 자기 자신이다. 이방법은 처음에는 어색하고 이상하지만 점차 하다보면 재미있고 의외로 좋은 글이 나올 것이다. 주의 할 점은 주변에 사람이 있다면 "똘+I 아니야?" 라는 소리를 들을 수 있다.
바로 초안을 소리내면서 읽으면서 자신과 대화하는 것이다. " 어 이거는 이상한데?" ," 이거는 이렇게 좋겠어" 라고 소리내면서 고쳐나가보자 그렇게 한다면 더욱더 좋은 수정글이 나올 것이다.
6. 나의 메시지는?
글에는 항상 목적이 있다. 재미, 정보, 공유, 마케팅 이러한 글들의 목적이 흔들려서는 안된다. 글을 길게 쓰다보며는 산으로 갈때가 종종있다. 그렇지만 산으로 간다고해도 도착지는 나의 메시지 전달이다. 지점이 절대로 흔들려서는 안되는 글쓰기의 핵심이다.
7. 묘목은 뿌리고 있어?
처음과 같은 말일수 있지만. 묘목을 뿌려야 한다. 아이디어 발전, 키워드 정리, 발전 , 사례 등등 자신의 생각을 정리 해야 한다. 그래야만 글쓰기 슬럼프가 온다고 해도 쉽게 해 결해 나갈수 있다.
" 무슨 글을 써야 할지 모르겠어요.." , "글쓰기가 막막해요.." 라고 말하는 사람들은 한번쯤 생각해보자 나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있는가? 한번쯤 적어보고 실천해보자 그러면 글쓸수 있는 주제들은 넘처나고 있다.
여러분들의 생각은?
제가 글쓰기에 있어서 생각하고 있는 7가지 단계입니다. 여러분들은어떻게 생각하세요? 7가지 단계를 지킬 필요는 없지만 아이디어의 발굴 단계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실천하고 있네요^^ 여러분의 생각과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정보&잡-덕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투자 하면 패가 망신한다? 부자들은 주식을 가지고 있다. 부자들의 투자비법공개 (0) | 2017.09.12 |
---|---|
마케팅에 사례가 필요한 2가지 이유는? 공감과 소통의 힘 (0) | 2017.09.08 |
김생민이 알려준 바람직한 소비방법 3가지 이것만 지키면 나도? (0) | 2017.09.07 |
재무설계가 필요한 이유 4가지 매일 돈이 부족하다면? (0) | 2017.09.07 |
4차산업시대의 시작과 변화 그리고 미래 :: 돈버는 방법은 4차산업에 있다. (0) | 2017.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