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80 법칙' 이 있다. 경제 이론에 관심이 있는 이들이라면 한번쯤 들어봤을 '파레토 법칙' 이다. 이법칙은 20%가 전체 결과중 80%를 차지하는 것에 불러일으킨다는 이론이다. 완두총의 80%가 20%콩깍지에서 열린다는 사실을 발견한 경제학자 빌프레도 파레토의 이름에서 따왔다. 경제구조의 분배의 불평등을 이야기하는 이들도 종종 파레토 법칙을 예로 들기도 한다.
'01550법칙'
그러나 모바일 시장에서는 다른 다른 법칙의 수치가 나온다. 0.15%에 극히 일부 게이머가 게임 전체의 수익의 50%를 차지하는 까닭이다. 특히 앱내부결제 게임에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된다고 합니다.
게임 시장조사업체 서브가 발표한 수익화 자료를 보면 앱 내부결제 게임 전체 매출에서 절반을 차지하는 게임머의 수는 전체 게이머의 0.15%에 불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돈.블로그.자기계발] - 자수성가한 백만장자가 되기위한 돈버는 방법은? :: 돈버는 카피캣
[돈.블로그.자기계발] - 돈잘버는 기업 TOP10은 모두 광고로 수익을 얻는다:: 돈버는 방법
신조어 '고래' 게이머
국내 모바일게임 시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게임에 극진히 돈을 쓰는 일부 게이머를 잡아두는 것은 모바일게임 개발업체가 과금 시스템을 만들때 가장 많이 고민하는 부분이다. 특히 국내는 해외보다 더 빨리 앱내부결제 수익 모델을 장착한 시장이기도 한다. 국내 게임업체 관계자는 " 돈을 안쓰는 사람이 게이머 생태계를 만들면, 극히 소수의 게이머가 많은 수익을 내는 구조가 자리를 잡는다." 라며 게임에 적극적으로 돈을 쓰는 사람은 10명중 1명골이라고는 말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처럼 적극적으로 게임에 뛰어드는 게이머를 이른바 '고래'게이머 라고 부른다.
'코어게임'이 대세가 된 이유?
소수의 게이머를 잡기 위한 유료화 방식은 나라마다 조금씩 다르다. 중국은 노골적이다. 게임 안에서 많은 돈을 쓰는 게이머에게 좋은 아이템이 나올수 있도록 확률을 보장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종의 VIP시시템이다. 일본 게임 업계는 '가챠'시스템을 정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게이머가 상품을 구입할 때 '뽑기' 운에 따라 다른 아이템을 받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국내 게임시장은 점차 코어게임을 이동하는 추세이다. 과거 '애니팡'이 대표적인 캐주얼게임이라면 코어게임은 좀더 복잡한 규칙과 화려한 그래픽, 다양한 시스템을 결합한 게임이다. 한예로 '몬스터 길들이기'와 같은 액션 롤플레잉 장르나 가트싸움 게임이 여기 속한다.
게임업게는 01550법칙을 이용해서 코어게임으로 점차 이용하고 그리고 0.15% 의 사람을 잡기 위해서 다양한 방법의 게임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만약에 당신이 게임을 만든다고 생각하면 0.15%에 집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돈.블로그.자기계발] - 프로그램 하나로 억만장자가 된 3명 유명인 :: 돈버는 방법은 프로그램에 있다?
[돈.블로그.자기계발] - 돈잘버는 기업 TOP10은 모두 광고로 수익을 얻는다:: 돈버는 방법
'정보&잡-덕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산업시대의 시작과 변화 그리고 미래 :: 돈버는 방법은 4차산업에 있다. (0) | 2017.09.05 |
---|---|
가치를 파는 사람이 돈을 벌수 있다.:: 돈버는 방법 가치 (0) | 2017.09.04 |
프로그램 하나로 억만장자가 된 3명 유명인 :: 돈버는 방법은 프로그램에 있다? (0) | 2017.09.04 |
돈잘버는 기업 TOP10은 모두 광고로 수익을 얻는다:: 돈버는 방법 (0) | 2017.09.03 |
자수성가한 백만장자가 되기위한 돈버는 방법은? :: 돈버는 카피캣 (0) | 2017.09.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