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좋아하는 사람이 성공한다?
게임에는 다양한 카테고리가 있지만 캐릭터의 성장을
시키는 게임을 잘하는 사람은 사회적으로 성공할수 있는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이유는 게임속에 우리 사회가 담겨져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우리가 게임속에서 현실로 나와 성공 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 수 있는지에 대해서 뇌피셜로 생각해보자.
# 주의 단순 뇌피셜 + 경험으로 바탕으로 작성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1. 성장
게임에는 레벨업이라는 성장 시스템이 있다. 이러한 성장은
현실에서 1년단위로 나이를 먹는우리와 같을 수 있다.
게임에서 레벨 단계별로 스테이지가 정해져 있고. 새로운
스테지이를 클리어 하기 위해서는 레벨이 중요하다.
우리는 현실에서 학교를 다니면서 단계별로 레벨업을 진행한다.
공통수학 수1 수2 정석 미분 적분 등 단계별로 성장을 하게된다.
이러한 성장은 우리로 하여금 사회에 적응, 활용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게 된다.
이러한 기초가 있기 때문에 사회 나가서 응용 및 실행을 할 수 있다.
2. 재료 구하기 + 아이템 구하기
게임을 하다보면 당야한 재료+아이템을 구할 때가 있다. 이러한 재료를
구하고 새로운 아이템으로 제작함으로써 퀘스트를 깰수 있고, 조금더
좋은 아이템을 만들어 상위 스테이지를 클리어 할 수 있다.
우리의 삶은 어떻까? 특별히 재료를 구하고 제작하는 과정이 없다고 생각
하지만 조금만 넓게 보면 우리는 필요한 물건을 하고 그 물건을 다양하게
조합하는 옷을 입기도 한다. 옷은 나를 표한할 수 있는 방법중 하나이며
다양한 패션 아이템을 이용해서 나 자신을 나타낸다.
이러한 패션 뿐만 아니라. 우리가 배운 것을 토대로 새로운 것을 창조 할 수도 있다.
사람들이 필요한 부분을 발굴하고 그것을 현재 제품과 새로운 재품을 창출 할 수 있다.
이러한 콜라보는 다양한 측면에서 발견되어진다.
3. 거래
게임의 핵심인 거래시스템은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 동시에 일어 나는 행위
이다. 거래를 함으로써 게임속 머니가 부족하면 현실에서 구입을 해서
게임상의 아이템을 사곤 한다. 여기서 내가 얻은아이템을 팔아서 현실의
돈으로도 바꿀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활용해서 돈을 버는 사람들 또한 많이
있다.
현실로돌아와 여기가 가장 핵심이다. 게임을 잘 하는 사람들중 돈을 잘 버는 사람
들은 이러한 시스템을 잘 이용한다. 게임에서 잘 팔리는 아이템을 구해서 거래소에
아이템을 등록하고, 판매가 이뤄진다. 이것을 현실로 돌아와서 내가 만약에 패션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라면 사람들이 좋아하는 패션 아이템을 구해본다. 이것을 스마트스토어
혹은 자사몰 등 다양한 판매로 진행해 본다. 아이템이 팔린다= 돈을 벌었다.
이러한 시스템은 게임과 현실과 맹락적으로 똑같다. 사람들이 원하는 것을
찾아서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는 거래소에 아이템을 등록하고 판매한다.
정말로 게임만하는 사람들은 이러한 성장을 얻을 수 없을 수도 있지만.
이러한 면을 현실과 비교함으로써 자신의 게임에서 얻은 노하우를 반영하여
현실에서도 적용할 수 있다는 점을 알았으면 좋겠다.
현실도 게임도 사람이 하는 곳이라 심리적 층면, 수요와 공급 등 다양한
영향을 가지고 있다.
마무리 게임도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 진행하는 것 이다. 필자 또한 어렸을때는 아무 생각 없이
게임을 즐겨 하기만 했다. 그렇지만 게임을 잘 하는 사람들은 정말로 게임에 미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현실에서도 좋은 방법으로 삶을 개척해 나간다. 내친구들 중에 던파를 랭킹 순위를 돌 정도로 열심히 게임을
하는 친구가 있었다. 현재 그 친구는 정말로 잘 나가고 있다. 무조건적 게임이 나쁘다기 보다는 게임을 하되
현실과 사회에 반영할 수 있는 부분을 익혀 나가는 좋은 장이 되는 것 또한 게임만의 큰 힘일 것이다.
'정보&잡-덕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을 읽지만 기억속에 사라지는 이유는? (0) | 2019.10.14 |
---|---|
아직도 작심삼일이야? 내가 도와줄께! (0) | 2019.10.14 |
자기개발의 첫 시작은 어디일까? (0) | 2019.10.10 |
도끼 111만원을 뿌린이유는? 도끼의 재산알아보기 (0) | 2019.06.25 |
추성훈 집 가격 / 상남자의 매력을 지닌 재산은? (0) | 2019.06.21 |
댓글